글 수 17
협조 비협조 게임은 여러번 하면 비협조 비협조(NE)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일거라 생각됩니다.
바하 스트라빈스키 게임은 NE가 2개 있지만 딱히 선택이 수렴하는 곳이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제가 생각해 본 것은
선택이 어떤 곳으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으면 그곳이 항상 NE일까 하는 것이었는데

다음과 같은 게임을 생각해보면 꼭 그런 것 같지도 않습니다.
A와 B를 대상으로 실험자가 게임을 하는데
A에게 200원을 줍니다. 이때 A는 세가지 선택을 할 수 있는데
그 세가지 선택은 받은 200원 중에서 B에게 각각 0, 100원, 200원을 주는 것입니다.
B는 그 후에 선택을 할 수 있는데 일종의 거부권으로 행사하게 되면 모든 금액을 실험자가 회수하고
행사하지 않으면 아무일이 없는 것입니다.

표로 나타내면
   Y  N
 0 (2,0)  (0,0)
 1 (1,1)  (0,0)
 2 (0,2)  (0,0)

가 될 것입니다. 이때 NE는 (0,Y), (0,N)  두개뿐인것 같은데 (즉, A는 B에게 한푼도 안줍니다.)

실제 게임에서 생각을 해보면
A가 2를 혼자 다 먹게 된다면 B는 A가 괘씸해서 거부권을 행사할 것 같습니다.
A는 아무래도 반반씩 먹자 (1,1)로 가야
A도 B도 불만없을 것 같은데요.
막상 실험해보면 NE가 아닌 (1,Y) 로 수렴하지 않을까요.

직관적으로 선택이 수렴하면 항상 NE일 것 같았는데
제가 생각한 게임이 반례가 되나요?
아니면 게임에 심리적인 요소같은 것들은 배제한다는 가정 등이 전제된 상태에서
선택이 수렴하면 항상 NE이다가 참인 명제인가요?
조회 수 :
1175
추천 수 :
177 / 0
등록일 :
2006.09.22
10:26:06 (*.248.25.206)
엮인글 :
https://mathsci.kaist.ac.kr/ko/xe/2006_fall_MA480_qna/12509/75c/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s://mathsci.kaist.ac.kr/ko/xe/2006_fall_MA480_qna/12509

신희성

2006.09.22
16:20:35
(*.248.27.121)
제 생각입니다만.. 위의 게임은 수업시간에 하던 것과는 다릅니다.

보통의 게임에서는 동시에 전략을 선택하는데,
이 게임에서는 A가 결정을 한 후, B가 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 결과 A는 B의 선택을 보고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NE 수렴할 수 없는 것입니다.

만약에 A와 B가 동시에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고, 제가 A라면,
저는 B의 선택과는 무관하게, 무조건 첫번째 상황을 선택할 것 같은데..
그러면 NE으로 수렴하는 것 같습니다.

김일희

2006.09.22
20:21:08
(*.248.25.202)
동시에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도 NE 로는 수렴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같은 게임을 여러번 한다고 했을 때
제가 B라면 (0,Y)로 수렴하는 것에 반대하고 거부권 행사를 할 것입니다.
A는 계속해서 아무이익도 없으면서 B에게 한푼도 안주는 선택을 유지할까요?
동시선택이라도 여러번 실험을 하면 (1,1)로 수렴하지 않을까요?

김일희

2006.09.24
08:33:57
(*.248.242.13)
음.. 당연히 비협조 비협조로 수렴할거라 생각했는데..
그러고보니 협조 협조로 수렴할 수도 있겠네요..
애초에 논리적으로 수렴성을 따질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 같은 생각이...
"합리적" 이라는 것의 정의를 어떻게 해야하는가의 문제인 것도 같고...

신희성

2006.09.23
18:01:09
(*.145.173.195)
[죄수의 딜레마] 같은 게임에서도 여러 번 반복하게 되면..
상대의 전략(생각)에 따라 NE가 아닌 (협조, 협조)로 수렴할 수도 있습니다.

김재완

2006.09.26
14:54:15
(*.248.136.48)
죄수의 딜레마를 계속할때의 최선의 전략은 처음엔 무조건 협조(혹은 배신)하고, 그 다음부터는 상대방이 그전에 했던 그대로를 따라하는 전략이라고 하는군요;;

신희성

2006.09.26
20:38:45
(*.248.27.121)
[죄수의 딜레마]를 여러 번 반복할 때, 항상 우월한 전략이란 없습니다.
상대의 전략에 따라 우월한 전략은 바뀌게 됩니다.

협조, 비협조를 번갈아서 결정하는 사람이 상대라고 가정하면..
상대방이 그 전에 했던 그대로를 따라 하는 전략보다..
상대와 마찬가지로 협조, 비협조를 번갈아 결정하는 것이 더 이로운 전략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실명으로 게시하기 바랍니다. 김동수 2006-09-23 887
16 한 학기 동안 감사합니다 [2] anonymous 2006-12-19 937
15 사진이 일부 잘린것 같습니다 김재완 2006-12-17 813
14 감사합니다 교수님. 김일희 2006-12-14 963
13 기말고사 전범위인가요? (냉무) [1] 이주아 2006-12-14 948
12 기말고사 [1] 박지상 2006-12-10 913
11 중간고사 [2] 박지상 2006-11-22 933
10 숙제1관련. [1] 윤세영 2006-10-23 945
9 시험 질문입니다 [1] 박지상 2006-10-21 928
8 심리적 요소가 있는 흥미로운 게임들 김일희 2006-10-18 922
7 Common Knowledge [4] 김일희 2006-10-18 939
6 중간고사... 이충목 2006-10-18 944
5 sample chapters 박지상 2006-10-16 934
4 숙제.. anonymous 2006-10-09 834
3 3. 49.1(Voting for three candidates) [2] anonymous 2006-09-22 1098
» NE가 아닌 곳으로 수렴하는 게임 [6] 김일희 2006-09-22 1175
1 Definition of Common Knowledge? [3] 신희성 2006-09-06 1195
OCTYPE HTML PUBLIC "-//IETF//DTD HTML 2.0//EN"> 404 Not Found

Not Found

The requested URL was not found on this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