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수상현황(2015년 10월 이후)

권길헌: 대한수학회 교육상 (2016년 대한수학회 봄 학술대회). 고기형, 구자경, 김용정, 백상훈, 신현식, 임미경, 안드레아스 홈센(Holmsen): 자연과학대 우수 강의상 (2015년 강의).

수리과학과 박성혁 학생 전국대학생수학경시대회 대상 수상

대학수학회에서 주최 제34회 전국대학생수학경시대회에서 KAIST 학생들이 다수 수상을 하였다. 우리 학과 2014학번 박성혁 학생이 1분야 대상을 수상하였고, 이명재(2012학번), 이영민 (2012학번), 이종원 (2014학번), 장기정 (2014학번) 학생이 1분야 금상을 수상하였다. 그 외에도 김창섭 (2014학번), 박상욱 (2014학번), 신재웅 (2015학번), 엄태현 (2012학번), 임현묵 (2014학번), 함도규 (2015학번) 학생이 1분야 은상을 수상하였으며, 곽걸담 (2011학번), 김기현 (2012학번), 신민석 (2013학번), 윤준기 (2014학번), 이정환 …

KAIST Industrial Mathematics Initiative 2015 개최

KAIST Industrial Mathematics Initiative 2015 (KAIST-IMI 2015)를 2015년 11월 13일에 개최하였다. KAIST-IMI 2015 행사에서는 산업수학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저명한 Mark McGuinness 교수(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Tim Myers 교수(Universitat Politecnica de Catalunya), Winston Sweatman 교수(Massey University)를 초청하여 국외 산업수학분야 동향 및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KAIST 수리과학과의 산업수학 연구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서울 아산병원 김남국 교수, 삼성종합기술원 김하영 박사, 서울대 …

주니어 패컬티 모임

학과내 조교수/부교수들의 비공식적 모임으로 학기 중 매월 마지막 수요일 저녁에 함께 모여 발표자의 연구 방법론에 관해 자유로운 토론을 한다. 저녁식사와 함께하는 모임인데, 실제 토론내용은 발표내용과 관련된 이슈뿐만 아니라 수학 전반에 관한 주제로도 자주 확대된다. 젊은 교수들이 여러 면에서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각자의 연구 분야를 넘어서 동료 교수의 수학적 관심사에 대해서도 …

학과 행정팀 인사 이동

이종구 행정팀장의 정년퇴임(금년 6월 30일) 3개월을 앞두고 학과 행정팀 직원의 인사이동이 있었다. 신임 행정팀장으로 최윤경 선생, 신임 행정직원으로 최혜경 선생이 부임하였다. 학과 행정팀은 총 4명으로 구성되며, 행정전반, 학사, 예산과 연구비, 대학원업무와 교원인사를 담당한다.

학사과정 진입생 57명

금년도 학과 진입생은 57명으로 전체 16개 학과 중에서 5번째로 많았다. 진입생수로 본 학과 순위는 전산학부, 생명화학공학과, 전기및전자공학부, 기계공학과, 수리과학과 순이다. 진입생들은 2월 26~27일에 무주리조트로 오리엔테이션 행사를 다녀왔다.

교환학생 수기 (2013년 가을~2014년 봄,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 (EPFL) 수학)

안녕하세요, 저는 KAIST 수리과학과 10학번 졸업생 홍성연입니다. 좌충우돌 탐험과 도전, 고민과 반성으로 가득했던 학부 과정을 무사히 마치고 저는 현재 스위스의 로잔연방공과대학(EPFL) 석사 과정에 재학 중입니다. EPFL을 택한 데에는 특별한 계기가 있는데 바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이었습니다. EPFL에서 교환학생으로 보낸 1년이라는 시간은 저의 시각을 다방면으로 키워주고 심신을 더욱 강하게 단련시켜 주었습니다. 이 글을 보게 되는 어느 분이건 제가 …

푸리에 –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

조세프 푸리에(Jean-Baptiste Joseph Fourier, 1768-1830)는 1768년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혁명의 혼란기 속에서 젊은 시절을 보낸 그는 나폴레옹의 과학 자문을 맡아 이집트 원정에 동행하고, 이를 계기로 알프스 주변의 이제레 지역의 지사에 임명되기도 했다. 공적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푸리에는 열역학과 관련된 수학, 물리학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여러 저작을 남겼다. 열역학에 관한 해석적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푸리에는 임의의 …

[특별기고] 알파고, 인공지능, 그리고 수학

전세계를 놀라게 했던 알파고와 이세돌 9단과의 대결이 있은 지 어느덧 한 달여의 시간이 흘렀다. 그사이 정부는 인공지능 기술 육성을 위해 정부 예산 1조원 민간 예산 2조 5000억의 연구비를 5년간 투자하기로 하고 또한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도 설립하기로 하는 등 국내에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다. 본고에서는 알파고의 기술적인 내용을 재확인해보고, 인공지능 연구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인공지능 연구에서 수학이 …

세상의 모든 공식 (원제목: An Equation for Every Occasion). 죤 헨쇼 저 (이재경 번역)

죤 헨쇼(John M. Henshaw)는미국 털사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서 교양과학서를 여러권 저술했다. 이 책은 52개의 방정식이 소개되어 있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대한 방정식으로부터 시작해서 현대 과학에서 최고의 방정식이라고 불리는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방정식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정식에 대한 내용과 주변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이 책은 방정식을 소개하고 그것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지 않았다. 그보다는 방정식이 어떻게 나왔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