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센터의 인공지능 팀에서 일한지 어느덧 두 해가 지났다. 그동안 팀에서 발생한 수학적 문제 해결은 대부분 내 몫이었다. 자율 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동료가 미분기하에 대해 묻거나 대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동료가 확률모형에 대해 설명해달라는 일도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업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선 조금 다른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사업자의 시선은 우리와 다르다. LTE 망에서 발생하는 문제 원인을 …
[약력] KAIST 수리과학과 95학번 (전산학과 복수전공) /해커즈랩 프로그래머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전산학 박사(2010년)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연구원 /영국 Microsoft Research Cambridge 연구원 /IMO 동메달 수상. 학생기자=기, 동문=동 본 인터뷰는 허충길 동문이 캠브리지 대학 연구연가 중이라, 화상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기: 선배님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동: 반갑습니다. 기: 선배님께서 수학과 전산 둘을 모두 공부하시게 된 계기나 …
9월 8일에 학과 순방의 일환으로 신성철 총장이 학과를 방문하여 1시간 정도 간담회를 가졌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수학분야의 기여가 특히 중요한 시점임을 강조하며 높은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중국의 Fudan 대학과 매 해 주제와 장소를 번갈아 개최하는 Fudan-KAIST 합동 워크샵이 대수학과 기하학 주제로 6월 6일에서 12일까지 상하이 Fudan 대학에서 열렸다. Fudan 측에서는 첸맹 교수와 우콴슈이 교수가 주관하고, 지칭춘, 지앙지, 리지유안, 우첸완, 장이 교수가 참가하였으며, KAIST 측에서는 이용남, 곽시종 교수가 주관하여, 임보해, 박진현 교수, 서의린 초빙교수와 더불어, 고등과학원의 금종해 교수, 박진형 박사가 참가하였다.
11월 3일에 Open KAIST 행사의 일환으로 김재경, 엄상일 교수가 각각 “수리생물학: 수학과 생물학의 아름다운 만남!”, “그래프 이론과 조합적 최적화 이론: 최단거리에서 외판원 문제까지”라는 제목으로 일반인과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하였다.
자연과학동 3, 4층에 있는 여자화장실 리모델링, 자연과학동 1, 3층 강의실 칠판 교체, 그리고 자연과학동과 산경동의 학생 공동 연구실 리모델링 등의 공사가 있었다.
11월 9일에 학과 내 연구실들을 대학원생 주도로 학부생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 참여한 8개 연구실의 지도교수는 다음과 같다: 김동수, 김재경, 엄상일, 이지운, 이창옥, 폴 정, 한상근, 안드레아스 홈슨.
2008년부터 학과에서 매주 제공한 수학문제의 풀이에 참여한 학생들 중에서 성적 우수자들을 학기별로 수상해왔다. 금년 봄학기 수상 대상자 명단은 외국 학생을 포함해서 다음과 같다. 최우수상: 조태혁(14학번). /우수상: Huy Tùng Nguyễn(16학번), 최대범(16학번), 이본우(17학번). /장려상: 장기정(14학번).
2017년 봄학기에 조교활동이 우수하다고 평가받은 학생 10명을 선정해서 7월 12일에 시상하였다.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미적분학 조교: 김성근, 김정섭, 박현준, 양대원, 이영민. /선형대수학개론 조교: 노희상, 이재훈. /응용미분방정식 조교: 김민기, 최두성,
이지운 교수는 영년직 부교수, 모라비토(Morabito) 교수는 부교수로 각각 승진하였다. 김동수 교수는 10월 28일에 대한수학회로부터 대한수학회 공로상을, 강완모 교수는 10월 27일에 한국경영과학회로부터 경영과학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이창옥, 김재경 교수는 11월 4일에 한국산업응용학회로부터 각각 KSIAM-금곡학술상과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