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5
완벽한 어느 하나 빠지지않은 상태의 해답을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사실 어느 정도까지 보여야될지 잘 모르겠네요..

숙제들에 대해 조교님들이 생각하는 완벽한 답안을 올려주시면

숙제와 적는 방법에 대해서 깔끔하게 될꺼 같은데....-ㅅ-...

부탁드릴 수 없을까요?;;

길라잡이가 아닌 완벽한 답을.....올려주시면 좋을텐데요;;ㅋ
조회 수 :
1330
추천 수 :
8 / 0
등록일 :
2007.10.20
03:48:49 (*.248.221.6)
엮인글 :
https://mathsci.kaist.ac.kr/ko/xe/N2007_fall_MAS270_qna/37885/785/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s://mathsci.kaist.ac.kr/ko/xe/N2007_fall_MAS270_qna/37885

수강생

2007.10.20
04:04:24
(*.248.90.118)
-_-;

수강생.

2007.10.20
04:11:25
(*.49.172.156)
저도 동감합니다.
대부분 학생들이 숙제 문제 답을 여쭈러 조교님을 찾아갈텐데,
정리해서 한꺼번에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똑같은 문제를 여러번 반복해서 설명하는 수고를 조금은 덜 수 있지 않을까요?
바쁘실텐데 항상 감사드립니다

수강생

2007.10.20
05:29:26
(*.248.243.133)
거의 다 책에 나온내용일텐데요. 숙제문제들은 이미 퀴즈를 공부하면서 완벽하게 (외우진 못하더라도) 풀어 봤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모르는 것이 있다면 그주에 질문을 했어야 하는 것 같은데.. 저만 이렇게 생각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조교님께 때를 쓰는거 같아 별로 보기좋지 않습니다 ;

강철민 조교

2007.10.20
06:48:34
(*.248.92.153)
일단 저는 최락용씨께서 부탁하신대로 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저도 수강하는 과목이 있고, 중간고사를 치러야 하기때문에, 제가 답안을 모두 작성해서 웹에 게시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이 과목의 수강생 대부분은 수학이 전공인 학생들이리라 생각합니다. 수학을 도구로써가 아닌 학문의 대상으로 공부하시기 위해서는 자신이 기술한 수학적 문장이 옳고 그름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가 쓴 답안은 정답이라 확신할 수 없으니 나보다 더 많이 공부한 사람에게 정답을 써달라고 하는 건 수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자세가 잘못된 것 입니다.

그리고 이과목의 채점기준이 지금까지 학생들께서 수강하셨던, 미적, 선대개, 해석학 등의 과목보다 까다로운 건 이 과목의 성격때문입니다. 집합론은 모든 수학의 기초를 이루는 과목이기 때문에 수학중에서도 가장 명확한 논리로, 가장 빈틈없이 기술되어야 하는 과목입니다.

중간고사는 퀴즈에 비해 시간적 여유가 많이 있을 것입니다. 만약 어느수준까지 답안을 작성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시험감독을 하고 있는 조교나 교수님께 어느정도는 가정하고 써도 되느냐고 묻고 쓰길 바랍니다.

글을 써놓고 보니 제가 학생들을 나무라는 투가 된것 같아 죄송스럽네요. 이제 수학공부를 시작한 학생들에게 정확한 풀이를 쓰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학부때에는 제가쓴 답안이 옳은 건지 그른건지 판단이 안서는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계속 수학공부를 할 생각이라면 한번쯤은 이런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과목을 끝까지 따라만 간다면 여러분들은 수학적으로 조금씩은 성숙해지리라 확신합니다. 힘내서 더 열심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권상훈

2007.10.20
10:57:01
(*.248.234.161)
항상 좋은 답변 해주셔서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재귀논리의 재귀적임을 보이는 리스트들 중에.. [1] file 조용화 2007-12-19 1299
24 퀴즈 일정에 대해 [1] 조만석 2007-12-06 1019
23 죄송합니다만.. 오늘 수업을 늦게 들어가서 [1] 조만석 2007-11-30 1128
22 선택공리의 사용에 대해서........ 조용화 2007-11-12 1218
21 표기법에 대한 질문(지수연산)입니다 [2] 조용화 2007-11-05 1148
20 중간고사 3(a) 질문입니다. [1] 수강생 2007-10-28 1240
19 중간 고사의 정확한 일정 [4] 조만석 2007-10-25 1142
18 [a] < [b] 정의 질문입니다 [3] 김재호 2007-10-24 1136
» 지금까지 내주신 숙제들에 대해.. [5] 최락용 2007-10-20 1330
16 시험이 어떤형식으로 나온다고 했나요?? [1] 강보성 2007-10-19 1247
15 다른 과목에서 배우는 간단한 정리들. 이지호 2007-10-15 1186
14 3(b)에서요 (C,<)가 well-ordered가 아니라 complete 아닌가요?(내용없음) [1] 이지호 2007-10-15 1296
13 '끝점이 없다'에 대한 질문입니다. [4] 조용화 2007-10-14 1243
12 질문 [1] 오은수 2007-10-14 981
11 inductive set에 대하여 [3] 김강산 2007-10-12 1233
10 이번주 금요일에도 퀴즈를 보나요?(내용없음) [1] 최범준 2007-10-09 1187
9 퀴즈 채점을 마치고... [6] 강철민 조교 2007-10-08 4412
8 f가 n자리 연산이라고 할 때, [1] 수강생 2007-10-05 1900
7 hartogs의 수 질문.. [3] 최범준 2007-10-04 1467
6 퀴즈풀이에 관련해서. [1] 강철민 조교 2007-09-27 1193
OCTYPE HTML PUBLIC "-//IETF//DTD HTML 2.0//EN"> 404 Not Found

Not Found

The requested URL was not found on this server.